롤 티어 순서와 분포 각 등급의 특징과 통계 분석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롤)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게임으로, 매년 많은 유저들이 랭크 게임에 참여하여 자신의 실력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롤의 랭크 시스템은 총 10개의 티어로 나뉘어 있으며, 각 티어는 세부 등급으로 추가로 구분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롤의 티어 순서와 분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며, 각 등급의 특징과 통계 자료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롤의 랭크 티어 구조

롤의 랭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10개의 티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이언,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에메랄드, 다이아몬드, 마스터, 그랜드 마스터, 챌린저. 각 티어는 다시 4개의 세부 등급으로 나뉘어 있으며(아이언부터 다이아몬드까지), 마스터 이상의 티어는 단일 등급으로 운영됩니다.

티어 등급 수 분포율 (%) 평균 KDA
아이언 4 10 2.12
브론즈 4 20 2.24
실버 4 16 2.29
골드 4 16 2.32
플래티넘 4 19 2.36
에메랄드 4 12 2.40
다이아몬드 4 4.2 2.45
마스터 1 0.58 2.48
그랜드 마스터 1 0.031 2.56
챌린저 1 0.01 2.64

이 표를 통해 각 티어의 구성과 평균 KDA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각 티어의 세부 사항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아이언 티어

아이언 티어는 롤에서 가장 낮은 티어로, 4개의 세부 등급(아이언 IV, 아이언 III, 아이언 II, 아이언 I)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아이언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10%가 포함되어 있으며, 평균 KDA는 2.12로 가장 낮습니다.

이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대체로 게임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거나, 기본적인 게임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언 티어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팀워크가 부족한 경향이 있다는 점입니다.

게임 내에서 자주 발생하는 트롤 플레이와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 팀의 승리를 이끌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의 경험은 초보자에게 중요한 학습 기회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챔피언 사용법, 맵 이해도, 팀 플레이의 중요성을 깨닫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아이언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10%
평균 KDA 2.12
주요 문제점 게임 이해 부족, 팀워크 부족
개선 방안 기본 메커니즘 학습, 팀 소통 및 협력 강화

다른 내용도 보러가기 #1

브론즈 티어

브론즈 티어는 롤에서 두 번째로 낮은 티어로, 역시 4개의 세부 등급(브론즈 IV, 브론즈 III, 브론즈 II, 브론즈 I)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20%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24입니다.

브론즈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기본적인 게임 메커니즘을 알아보고 있지만, 여전히 실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브론즈 티어는 아이언 티어보다 조금 더 나은 실력을 가진 유저들이 많지만, 여전히 팀워크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유저들이 ‘팀탓’을 하며 패배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 단계에서도 팀원 간의 협력이 중요하므로, 자신의 역할을 명확히 알아보고 팀원들과의 소통을 통해 승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브론즈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20%
평균 KDA 2.24
주요 문제점 팀원 간의 소통 부족, 팀탓 문화
개선 방안 역할 이해, 팀 소통 강화

실버 티어

실버 티어는 롤의 세 번째 티어로, 4개의 세부 등급(실버 IV, 실버 III, 실버 II, 실버 I)으로 나뉩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16%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29입니다.

실버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기본적인 게임 이해도가 높아지고, 어느 정도 팀워크도 발휘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실버 티어에서는 개인 기량이 승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이 잘하는 챔피언을 고수하면서 팀원들이 잘하는 챔피언을 배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실버 티어에서는 종종 ‘스노우볼’ 현상이 발생하는데, 한 팀이 초반에 유리한 상황을 잡으면 쉽게 경기를 마무리 지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게임이 불균형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버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16%
평균 KDA 2.29
주요 문제점 개인 기량 의존, 스노우볼 현상
개선 방안 팀원 배려, 전략적 플레이 강화

골드 티어

골드 티어는 롤의 네 번째 티어로, 역시 4개의 세부 등급(골드 IV, 골드 III, 골드 II, 골드 I)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16%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32입니다.

골드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어느 정도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팀워크도 발휘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골드 티어에서는 유저들이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알아보고, 팀원들과 협력하여 승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개인 기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팀원 간의 의견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단계에서의 성장은 팀 전략을 세우고, 팀원들과의 소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드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16%
평균 KDA 2.32
주요 문제점 개인 기량 의존, 팀원 간 의견 충돌
개선 방안 팀 전략 수립, 소통 강화

다른 내용도 보러가기 #2

플래티넘 티어

플래티넘 티어는 롤의 다섯 번째 티어로, 4개의 세부 등급(플래티넘 IV, 플래티넘 III, 플래티넘 II, 플래티넘 I)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19%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36입니다.

플래티넘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팀워크도 잘 발휘되는 수준입니다. 플래티넘 티어에서는 유저들이 좀 더 전략적으로 게임을 진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팀원 간의 협력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팀 전략을 수립하고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승리에 큰 영향을 줍니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각자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이 높아져, 팀원들이 서로를 배려하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플래티넘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19%
평균 KDA 2.36
주요 문제점 팀원 간 협력 부족
개선 방안 팀 전략 수립, 역할 책임감 강화

에메랄드 티어

에메랄드 티어는 롤의 여섯 번째 티어로, 4개의 세부 등급(에메랄드 IV, 에메랄드 III, 에메랄드 II, 에메랄드 I)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12%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40입니다.

에메랄드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높은 수준의 게임 이해도를 가지고 있으며, 팀워크와 전략적 플레이가 잘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에메랄드 티어에서는 각 유저의 기량이 차별화되어 있으며, 팀원 간의 소통과 협력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의 기량도 중요하지만, 팀의 전략과 역할 수행이 승패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가지 상황에서 적절한 판단을 내리는 능력이 요구되며, 팀원 간의 협력과 의사소통이 승리의 열쇠가 됩니다.

에메랄드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12%
평균 KDA 2.40
주요 문제점 팀워크 및 전략적 플레이 부족
개선 방안 소통 및 협력 강화, 전략적 판단 능력 향상

다이아몬드 티어

다이아몬드 티어는 롤의 일곱 번째 티어로, 4개의 세부 등급(다이아몬드 IV, 다이아몬드 III, 다이아몬드 II, 다이아몬드 I)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4.2%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45입니다.

다이아몬드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높은 수준의 게임 이해도와 기량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이아몬드 티어에서는 유저들이 게임의 흐름을 파악하고, 팀의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상대 팀의 전략을 분석하고, 자신의 팀이 이길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이아몬드 티어에서는 높은 수준의 실력을 갖춘 유저들이 많기 때문에, 팀워크와 협력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다이아몬드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4.2%
평균 KDA 2.45
주요 문제점 팀워크 및 전략적 판단 부족
개선 방안 팀 협력 강화, 전략적 상황 판단 능력 향상

마스터 티어

마스터 티어는 롤의 여덟 번째 티어로, 세부 등급이 없는 단일 등급입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0.58%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48입니다.

마스터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매우 높은 수준의 실력과 게임 이해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마스터 티어에서는 게임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전략을 세우고, 팀원과의 협력을 통해 승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유저들이 상대 팀의 전략을 읽고, 자신의 팀이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또한, 마스터 티어에서는 랭크 게임을 진행하지 않으면 LP가 감소하는 규정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플레이가 필요합니다.

마스터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0.58%
평균 KDA 2.48
주요 문제점 지속적인 플레이 필요
개선 방안 전략적 판단 및 소통 강화

그랜드 마스터 티어

그랜드 마스터 티어는 롤의 아홉 번째 티어로, 역시 세부 등급이 없는 단일 등급입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0.031%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56입니다.

그랜드 마스터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롤의 최상위 실력을 지닌 유저들로, 프로게이머와 유사한 수준의 실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랜드 마스터 티어에서는 팀워크와 소통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각 유저가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팀원 간의 협력으로 승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랜드 마스터 티어의 유저들은 대개 랭크 게임에서의 경험이 풍부하며, 다양한 전략과 전술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랜드 마스터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0.031%
평균 KDA 2.56
주요 문제점 팀워크 및 소통 부족
개선 방안 전략적 협력 및 소통 강화

챌린저 티어

챌린저 티어는 롤에서 가장 높은 티어로, 세부 등급이 없는 단일 등급입니다. 이 티어는 전체 유저의 약 0.01%가 속해 있으며, 평균 KDA는 2.64입니다.

챌린저 티어에 속한 유저들은 롤의 최상위 실력을 지닌 유저들로, 대개 프로게이머와 연관된 경우가 많습니다. 챌린저 티어에서는 상대 팀의 전략을 분석하고, 자신의 팀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승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게임의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선택을 해야 하며, 팀원과의 협력 및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챌린저 티어의 유저들은 대개 지속적인 플레이와 경험을 통해 높은 수준의 실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챌린저 티어 특징 설명
유저 수 약 0.01%
평균 KDA 2.64
주요 문제점 높은 압박감과 지속적인 플레이 필요
개선 방안 전략적 협력 및 소통 강화

결론

롤의 티어 시스템은 유저들이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팀워크와 전략적 플레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각 티어마다 고유한 특징과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롤을 즐기는 모든 유저들이 자신의 티어에서 최선을 다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를 바랍니다. 즐겁고 의미 있는 게임 경험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관련 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